집단 유전학 분야의 세계 최고 석학 중 하나인 조너선 프리처드 스탠퍼드대 빙좌교수가 한국의 2022학년도 수능, 과학탐구 영역, 생명과학, 20번 문항의 출제 오류를 트위터에서 지적했다.
프리처드 교수는 이 문제에 대한 해설을 트위터에 공유하면서 집단 유전학, 중대한 대학입학시험, 수학적 모순, 법원의 가처분 명령(흥미)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고 썼다.
미국 학술원 회원인 프리처드 석좌교수는 수학적, 통계학적 방법과 컴퓨터 알고리즘 등을 동원하여 유전변이와 진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2013년 미국 유전학회의 에드워드 노비츠키상(Edward Novitski Prize)을 수상하였습니다.
프리처드 교수는 이 문제를 한국의 수험생으로부터 정보를 입수해 자신의 연구실에서 일하는 연구원에게 설명받았습니다.
프리처드 교수가 트위터로 공유한 해설은 같은 연구실 소속의 박사과정생 매튜 아길레 연구원이 프리처드 교수의 질문을 받고 작성한 것입니다.
아길레 연구원은 이 문제가 터무니없이 어렵고 실제로는 푸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특히 문제의 조건이 불완전해도 답은 내놔 문제의 타당성이 유지된다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습니다.
아기레 연구원은 모순 발견 전에 답을 줄 수 있는 것들은 평가원이 특정한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이라며 다른 방법을 선택하면 답을 내놓기 전에 모순에 직면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평가원 방식으로 문제를 풀면 답을 내겠다→검산→모순 발견의 과정이 되므로 만약 응시자가 답을 내겠다까지 해서 검산을 하지 않으면 모순을 발견하지 못한 채 너무 많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아기레 연구원이 소개한 '또 다른 접근법'으로 문제를 풀면 답을 내기 전에 모순이 발견됩니다.
아기레 연구원은 타당한 해석이 있다고 말하려면 의도적으로 진실을 계속 외면해야 한다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지난 11월에 치러진 2022학년도 수능시험에서 논란이 됐던 생명과학Ⅱ의 20번은 집단Ⅰ과Ⅱ 중 하디 바인베르크의 균형이 유지되는 집단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선택지]의 진위를 판단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입니다.
이의신청자들은 특정 집단의 개체수가 음수(-)가 되는 중대한 오류가 발생하여 제시된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집단이 존재할 수 없으므로 문항 자체가 잘못이라고 보고 평가원에는 틀린 답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해당과목을공부하는학생은물론교사,학원강사,관련전문가들사이에서도문제자체에오류가있을수있고정답이존재하지않는다는의견이나왔습니다.
그러나 평가원은 지난달 29일 이 문제에 대해 '이상 없음'으로 결론 내리고 "이 문제 조건이 완전하지는 않더라도 학업성취수준 변별을 위한 평가 항목으로서의 타당성은 유지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생명과학 응시자 92명이 집행정지 신청과 함께 행정소송을 냈고 서울행정법원 행정6부(부장판사 이주영)는 지난 9일 집행정지 신청을 받아들여 정답 결정을 1심 판결이 날 때까지 유예하라고 평가원에 명령했습니다.
평가원 관계자는 10일 열린 첫 변론에서 "개체 수가 마이너스여도 정답을 구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며 "과학은 수학과 달리 모형을 수정 보완하면서 발전하는 학문인 만큼 개체 수가 마이너스여도 이 집단에 어떤 진화가 일어날지 충분히 상상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사건의 본안소송 1심 결과는 이달 17일 오후 1시 30분에 선고될 예정입니다.